이달 1일부터 라면, 과자, 빙과류, 아이스크림류, 의류 243종 등 모두 247종에 대해 권장(희망)소비자가격 표시가 금지되었습니다. 대신 이들 품목은 판매자가 원하는 판매가격을 매겨 판매됩니다. 이른바 `오픈 프라이스(Open Price)` 제도가 도입된 것입니다.
오픈 프라이스 제도는 제조업자가 판매가격을 정하는 기존의 권장소비자가격제와 달리 최종 판매업자가 실제 판매가격을 표시하는 가격제도입니다. 가격을 표시하는 주체가 제조업자나 수입업자가 아니라 최종 판매업자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화장품 가격에서 처음 실시되었습니다.
오픈 프라이스 제도 확대로 유통시장 가격체계가 크게 변화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는 제조업체가 권장가격을 턱없이 높게 책정한 뒤 이를 근거로 판매업소는 대폭 할인해주는 것처럼 호도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권장가격이라는 일종의 `기준 가격`이 사라졌으므로 소비자들은 판매가격만으로 값이 비싼지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매장에 갈 때마다 혹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판매가격을 비교하는 등 꼼꼼해야 알뜰 장보기를 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오픈 프라이스 제도는 일부 판매업소들의 눈속임 할인이란 부작용을 막을 수 있고, 가격경쟁을 통해 소비자입장에서는 더욱 저렴한 물건을 구입할 수 있을 것이란 예측과 효과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대형 유통업체로 집중될 시장흐름, 소비자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상품 증가 등 부작용도 분명하게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러분은 오픈 프라이스 제도 시행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시장 현장에서 보다 정확하게 느끼고 있는 아줌마닷컴 회원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알려주세요.
같네요 특히 나이든 사람들에게는요
왜 그런 제도를 시작했는지.. 이해안됨이요.
정보검색을 더열심히하다가 컴퓨터인터넷 중독자가
되지나않을지 걱정입니다
가격이 안 적혀 있으니 얼마나 싼지도 모르겠공,,,ㅠ,ㅠ
특히.주변에 슈퍼가 많지 않을경우 더 하구요.
너무 어이가 없었습니다.정말이지..
제가 발품, 손품 조금 더 팔면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거잖아요^^
구매할수있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신뢰가 사라질것같아서 좋지않을것같아요!
저는 조금 우려가 됩니다..
과연 이것은 좋은 제도인가...
저는 불편하고 불필요한 제도가 되지 않을까..생각됩니다
당장은 비양심적으로 가격담합을 하거나 판매,구매시 헷갈리는 수는 있겠지만 "경쟁" 이 있고, 소비자들이 바보가 아닌 이상 시간이 좀더 지난다면 가격담합은 외면받게 되고 경쟁구도 속에 가격이 지금보다 내려갈것 같아요. ☆★
출혈 경쟁이 일어날수도 있을텐데..판매자간에 싸우는 거야 어쩔수 없다 치지만, 그패해가 소비자한테까지 오니 그게 문제인거죠..
어제는 슈퍼에 갔더니 그제까지 700원에 팔던 아이스크림을 1000원에 팔더군요,,정말 헉!! 소리났습니다. 특히나 그 슈퍼가 골프장안에 있던 건데요..이럼 안되는 아닌가요? 관광지 바가지 요금이 정말 걱정됩니다. 소비자들도 제품의 정확한 가격을 알 권리는 있지 않을까요????
700원짜리 아이스크림을 250원에 팔지 말고, 250원 표기하면 간단할텐데, 왜 그렇게 복잡하게 만드는지...
물건을 사는 소비자입장에서는 가격의 기준이 돼있어야지 혼란스럽지 않을까요?
하진만 대형마트로만 집중대면 시장상인들이 더 힘들어질것같아요... 전 아직은 재래시장이 좋다고 봐요...정을 느낄수 있어서요
이제는 어떤 금액 기준을 모르잖아요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꼼꼼히 생각해 주시구여...
판매자의 과대수익보다는 소비자의 한결같은 구매를통해
좀더좋은제품 좀더 저렴한가격에 모든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그리고 믿고 구매할수 있도록 무엇보다도 판매자의 신뢰가 최우선인것 같습니다
어쨌든 좋은 방향으로 발전했으면 합니다.
왠지 못 믿을 것 같아요..
저렴하다보면, 문제의 제품도 나올꺼같고...
정확한 가격을 모르기에 모르는곳에서는 바가지도 쓸꺼같아요
소비자들만 골탕? 먹을꺼 같아욧
그렇게 원시적인 방법으로라도 가격은 비교해야 비싸게 사지 않을테니까요
사실 아이들 키우면서 일일이 가격비교하는것도 일인데..
정확한 가격은 아니더라도 일정 기준은 표시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정찰제 하면 정말 좋을텐데.
이웃나라 일본은 광고에도 정확한 가격이 표시되더라구요.
지역상인들의 단합이라도하면 더 손해보게되지않을까요?
소비자 입장에서 일일히 가격을 물어보고 비교하기란 한계가 있지 않을까요??-!!
요즘 같아선 먹이지 말아야 할것 같아요.
아이들 과자값좀 올리지 말았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근데 어느날인가 부터 원래 가격은 없고 가격은 올라갔다하니,,,그냥 그런가 보다 할뿐이죠..그럼 부르는게 값인건가요??전 사실 뭐가 좋은지 잘 모르겠어요^^*
가격에 민감하다보니 당분간은 불편할것 같네요.
오픈 프라이스는 양날의 칼 같기도해요.
더욱 꼼꼼히 살펴보고 비교해야겠지요.
소비자적정가의 개념이 사라질까 솔직히 두렵기도하네요.
과연 대기업들이 그럴까요?? 그 피해는 결국 국민에게
돌아오는데 정말 왜 모르실까요...
판매자가 가격을 정하니 대형마트에선 더 많이 가격을 내려 판매할것이니 소비자에게 좋을것 같지만 그렇게되면 대형마트로 사람들이 몰리니 소형마트판매자들이 울상일테고 어떤게 좋은지 잘 모르겠어요.
웬지 눈가리고 아웅하는듯한 격이라고나 할까요..
이름바꾸는것은허울좋은명목일뿐^^
기업이라는게 어떤곳인데.. 자기네들 손해볼짓 절대 안할건데.. 소비자만 놀아나는꼴.. 아닐까요??
잘 보완해서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제도가 되었으면 합니다
제품의 질보다 가격이 비싸서 황당할때가 있었는데요.
최종 판매자가 가격을 매기니 경쟁 판매자끼리 가격 경쟁으로 가격이 다운될거라고 생각해요.
저렴하다보면, 문제의 제품도 나올꺼같고...
정확한 가격을 모르기에 모르는곳에서는 바가지도 쓸꺼같아요..
일일이 비교해서 물건사기도 번거롭고,소비자만 봉이되는건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 한편으로는 판매자끼리 경쟁이 되어서 잘만 이용하면 소비자가 유리할수도 있는제도인것도같고 아직은 생소해서 판단하기가 힘드네요. 좀더 알아보고 제도적인 개선점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른 가게보다 저렴한 가격을 붙이고
또 파악하고 붙이고...정말
소매상들이 죽어나는 일인 것 같아요.
물론 유럽의 여러나라에선 하고 있는 일이지만
글쎼요...장단점이 있긴 한데...
너무 급작스러운게 일이죠.
가격을 보고 구입해본적이 없었습니다
상관은 없을듯한데 그래도 좀 저렴햇으면 좋겟네요
금액을 정한다면 소비자가 직접 가격비교 가능하고...아무튼
전체적으로 가격은 오르겠네요
소비자가격이 찍이지 않으면 살때 망설여질것 같아요.
이가게가 더비싸지 않을까! 저쪽 가게는 얼마일까!
좀더 싸게 사고 싶으면 이가게 저가게 돌아다녀야 해서
소비자는 더 힘들어지고 흥정이란것 때문에 복잡할것 같네요. 소비자와 판매자는 과연 얼마나 신뢰하면서 구입해도 찜찜한것은 남아있지 않을까요!
소비자는 정말 가격을 모르고 이게 정당한가격인줄알고
살거예요.. 화장품이나. 아이스크림이나 모르는사람이사면 제가격 주고살것같아여.. 아이스크림도 도입된다면 정말 어디까지 치솟을지 안봐도 비디오네여 솔직히 아이스크림 원재료가 얼마나싼데 요새는 아이스크림하나가 1000원 1500원하고... 진짜 너무하는것같습니다. 소비자들을 우롱하는것같고요.. 저는 오픈프라이스 제도 반대합니다. 가격이 딱딱정해져있는상태로하고 세일은 허용하는 이런게좋은것같아여. 아무것도 모른느 소비자들을 이용해서 돈을뜯어내는 기업, 회사가 많아질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여행지나 수영장,공원 같은곳에서는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비싸게 판매될 우려가 많아요
오픈프라이스제도 얼른 다시 시행해 주세요...제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