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이미지
마감
[280회] 여러분 가정의 책임과 의무, 그리고 권한은 공정한가요?
2017.03.03 ~ 2017.03.31
참여자 36

여러분 가정의 책임과 의무, 그리고 권한은 공정한가요? 

 

남녀가 만나 인연을 맺어 한 가정을 이루면서 서로에게 다양한 책임과 의무가 생기게 마련입니다. 

더불어 권한도 주어지게 되는데요, 여러분 가정은 어떠한가요?  책임과 의무, 그리고 권한이 균형 있게 주어지고 있는지 한 번 같이 생각해볼까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면서 그 권한에 맞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는 반면, 우리 가정은 어떠한지 한번 살펴보도록 해요.

맘리서치에 참여하시고 마지막 문항에 인상적인 의견을 남겨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 아메리카노를 드립니다.

 

경품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5명)

1. 회원님의 가정은 ‘외벌이’인가요? ‘맞벌이’인가요?

1) 맞벌이
50%(18명)
2) 외벌이(아내)
14%(5명)
3) 외벌이(남편)
36%(13명)

2. 회원님의 가정에서는 아내가 ‘돈 버는 책임’을 얼마나 갖고 있나요?

1) 100% 아내의 책임이다.
6%(2명)
2) 80-90%
6%(2명)
3) 60-70%
3%(1명)
4) 40-50%
39%(14명)
5) 20-30%
22%(8명)
6) 10% 이하
25%(9명)

3. 또한 아내가 ‘돈 쓰는 권리’는 얼마나 갖고 있나요?

1) 100% 아내가 권리를 갖고 있다.
6%(2명)
2) 80-90%
28%(10명)
3) 60-70%
8%(3명)
4) 40-50%
42%(15명)
5) 20-30%
14%(5명)
6) 10% 이하
3%(1명)

4. 회원님의 가정에서는 ‘집안 일(청소, 빨래, 요리 등)’의 책임과 의무’를 주부(엄마)에게 얼마나 주어지나요?

1) 100% 주부(엄마)의 책임이다
33%(12명)
2) 80-90%
39%(14명)
3) 60-70%
17%(6명)
4) 40-50%
11%(4명)
5) 20-30%
0%(0명)
6) 10% 이하
0%(0명)

5. 또한 ‘집안 일에 소요되는 돈’은 ‘주부’가 어느 정도 권한을 갖고 쓰나요?

1) 100% 주부의 권한으로 쓴다
19%(7명)
2) 80-90%
44%(16명)
3) 60-70%
19%(7명)
4) 40-50%
11%(4명)
5) 20-30%
6%(2명)
6) 10% 이하
0%(0명)

6. 회원님께서는 ‘집안일도 돈을 버는 경제활동’이라는데 얼마나 동의 하시나요?

1) 매우 그렇다
44%(16명)
2) 그렇다
44%(16명)
3) 보통이다
11%(4명)
4) 그렇지 않다
0%(0명)
5) 매우 그렇지 않다
0%(0명)

7. 회원님께서는 ‘집안일’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면 ‘바깥일로 벌어들인 돈’의 몇 퍼센트만큼의 돈을 청구하시겠습니까?

1) 50% 이상은 청구해야 한다
58%(21명)
2) 40%
31%(11명)
3) 30%
11%(4명)
4) 20%
0%(0명)
5) 10% 이하
0%(0명)

8. 회원님의 가정에서는 ‘자녀 양육과 교육’의 책임과 의무가 주부(엄마)에게 얼마나 주어지나요?

1) 100% 주부(엄마)의 책임이고 의무다
39%(14명)
2) 80-90%
33%(12명)
3) 60-70%
19%(7명)
4) 40-50%
8%(3명)
5) 20-30%
0%(0명)
6) 10% 이하
0%(0명)

9. 또한 ‘자녀 양육과 교육에 쓰는 돈’은 주부(엄마)가 어느 정도 권한을 갖고 쓰나요?

1) 100% 주부(엄마)의 권한으로 쓴다.
28%(10명)
2) 80-90%
28%(10명)
3) 60-70%
33%(12명)
4) 40-50%
8%(3명)
5) 20-30%
3%(1명)
6) 10% 이하
0%(0명)

10. 회원님의 가정에서는 ‘부모 봉양’의 책임과 의무’를 ‘주부(엄마)’가 어느 정도 갖고 있나요?

1) 100% 주부(엄마)의 책임과 의무다
14%(5명)
2) 80-90%
22%(8명)
3) 60-70%
39%(14명)
4) 40-50%
17%(6명)
5) 20-30%
6%(2명)
6) 10% 이하
3%(1명)

11. 또한 ‘부모 봉양을 위해 소요되는 돈’은 얼마나 권한을 갖고 쓰나요?

1) 100%
6%(2명)
2) 80-90%
28%(10명)
3) 60-70%
25%(9명)
4) 40-50%
17%(6명)
5) 20-30%
17%(6명)
6) 10% 이하
8%(3명)

12. 회원님의 가정에서는 남편과 상의 없이 ‘주부’ 의 재량으로 결정해서 지출할 수 있는’비용은 얼마 정도인가요?

1) 상한 제한 없이 내 판단으로 모든 비용을 결정해서 지출할 수 있다.
14%(5명)
2) 100만원이 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할 때는 남편과 상의가 필요하다
22%(8명)
3) 50만원-99만원까지는 나의 결정으로 지출할 수 있다
11%(4명)
4) 10만원-49만원까지는 나의 결정으로 지출할 수 있다.
31%(11명)
5) 10만원 이하의 금액은 나 혼자 결정으로 지출할 수 있다.
17%(6명)
6) 남편과의 상의나 허락없이 주부의 재량으로 결정할 수 있는 돈이 전혀 없다.
6%(2명)

13. 회원님의 가정에서 남편보다 ‘아내’의 재량권이 더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떤 소비를 할 때인가요? 골라주세요

1) 식료품 지출
50%(18명)
2) 생활용품 지출
8%(3명)
3) 화장품 지출
6%(2명)
4) 의류/패션용품 지출
11%(4명)
5) 가전제품 지출
0%(0명)
6) 금융, 부동산 지출
8%(3명)
7) 의료 지출
0%(0명)
8) 문화비 지출
0%(0명)
9) 자동차, 보석 등 고가 지출
0%(0명)
10) 교육비 지출
14%(5명)
11) 경조사비 지출
0%(0명)
12) 기타
3%(1명)

14. 회원님이 가장 남편의 눈치(?)를 보면서 지출하는 품목은 다음 중 어떤 것인가요? 골라주세요.

1) 식료품 지출
6%(2명)
2) 생활용품 지출
0%(0명)
3) 화장품 지출
6%(2명)
4) 의류/패션용품 지출
19%(7명)
5) 가전제품 지출
11%(4명)
6) 금융, 부동산 지출
3%(1명)
7) 의료 지출
3%(1명)
8) 문화비 지출
3%(1명)
9) 자동차, 보석 등 고가 지출
17%(6명)
10) 교육비 지출
3%(1명)
11) 경조사비 지출
14%(5명)
12) 기타
17%(6명)

15. 회원님은 가정 내에서 책임과 의무, 그리고 권리에 대한 보장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

1) 매우 많다
31%(11명)
2) 많다
22%(8명)
3) 보통이다
28%(10명)
4) 거의 없다
8%(3명)
5) 전혀 없다
11%(4명)
등록
  • 예쁜하루 2017-03-31
    없어요.
  • 별나라 2017-03-31
    너무 많아요~
  • 햇볕은쨍쨍 2017-03-31
    누구한테든 강요는 있어서는 안됨
  • 이** 2017-03-26
    부모님을 모시고 살았는데 내가 부모님
    께 할 의무와 도리를 다하고 남편은 하는일 없이 묻어 가드라고요 가정의 화목은 아내의 마음 씀에 달려 있는거 같아요
  • 건현엄마 2017-03-25

    정말 필요해서 사야하는데 호응안할땐 정말 외벌이의 설움이 실감나요
  • 재재맘 2017-03-30
    @ 건현엄마어떤건지 알거 같아요. 가끔은 치사(?)한 마음도 들고 그런거 같아요
  • 봄~ 2017-03-25
    아이들의교육문제
  • 김** 2017-03-24
    !!!!!!!!!!!!!!!!!
  • 가으리 2017-03-22
    책임과 의무는 믿음이니까 믿음이 없어질거 같아요
  • 고** 2017-03-20
    남 편이 주도권이 쌔다
  • 이상희 2017-03-19
    남여 합의 하에 모든갓이 이루워뎌야함
  • 김** 2017-03-19
    청소 식사준비
  • 이광주 2017-03-19
    같이 돈을 버는데 나에게는 소홀해서 잘 챙겨 주지 않고 시댁 가족들과 본인의 건강에는 신경쓰고 자신이 더 힘든 일을 한다면서 집안일은 다 맡기고 왕노릇하네요.화내면 무서워서 기죽어 삽니다.
  • 울아들엄마 2017-03-16
    같은 회사 다니는 맞벌이. 모든 집안일 및 육아는 전적으로 와이프꺼. 거기에 시아버지까지 함께 기거.
    매 끼니를 와이프가 챙겨야함. 이런거 며느리의 엄마의 당연한거라고.............남편은 밖에서 돈버는거라고.
    그럼 와이프는 집에서 살림만 해야지 왜 나가서 돈벌라는건지
  • 재정서 2017-03-16
    책임과의무 부부관계도 의무도있고책임도있고 부모님도마찬가지 무조건 무조건 책임과의무 따지지 않고 잘모셔야죠 하지만 때론 지칠때도있죠 무조건 무조건 .....
  • 개망초 2017-03-15
    책임과 의무를 강요하지는 않지만 남편이 무심한 관계로 가정일 대부분은 내가 책임지는 대신 대부분의 권한도 내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러려니 하면서 살고 있다
  • 펭여사 2017-03-13
    시댁에 대한 의무와 책임 죽을때까지 쭉이겠지요..그래도 부모를 잘모셔야지하는 마음 하지만 쉽지는 않네요
  • 안자니까졸리 2017-03-12
    몸으로 때우는것은 여자가하고 돈 쓰는건 남자가 다하고 형평성이 전혀 엉망입니다!!
  • 나** 2017-03-11
    대한민국에서는 여자는 결혼이 참 손해라고 생각해요.
    맞벌이는 같이 하면서 왜 나혼자 애키우고 살림하고 밥하고 청소하고...아...진짜 ..
    게다가 시댁의 간섭까지...나혼자 이 나라를 떠나고 싶네요.
  • 은지 2017-03-10
    출석
  • 은지 2017-03-10
    자녀교육
  • cheese**** 2017-03-09
    권리와 권한이 따르지 않는 책임과 의무라면 부모자식간인거 같아요. 책임과 의무감으로 자녀를 키우고 있지만 그렇다고 자녀들에게 특별히 권리를 내세워 할 수 있는게 없는듯 하네요.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특별히 권리나 권한을 내세울 필요가 없는 것 같아요.
  • 변** 2017-03-09
    남편 외벌이긴 하지만 돈관리 권한이 나한테 있어서 그냥 거의 내가 생활을 다 책임지고 있다.
  • 아둘맘 2017-03-07
    소득의 50% 정도를 벌고 있지만 집안일은 거의 아내의몫이라는데 불만이 생김. 공평히 분담해야 하나 지극히 보수적인 남편으로 인해 힘든 상황임
  • 쫄밍 2017-03-06
    한국의 잘못된 교육관이 가정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내 아이대에는 안그러길 그래서 핀란드처럼 제도적으로 바뀌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된다
  • 양** 2017-03-06
    돈은같이 버는데

    안일은 독박이다
  • 재정서 2017-03-06
    부부
  • 정** 2017-03-06
    수입에 대한 결정권이 버는 배우자에게 있어서 좀 규모 있는 것은 할 수 없다는 점 입니다.
  • 스르르 2017-03-06
    남편이 생활비를 가져다 주는게 아니라 직접 물건을 사올 때 화가나요. 디자인도 성능도 고려하지 않고 사오다보니...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