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모가 수려한 연예인이 멋진 차림새로 브라운관에 등장하면 흔히 사용하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간지 난다’인데요.
‘간지 난다’라는 말이 일본말에서 출발한 신조어라는 것을 아시나요? 그렇습니다. 광복 60주년인 2010년의 대한민국에 아직도 아픈 우리말들이 많이 퍼져있습니다.
주시경 선생님은 한 나라가 잘되고 못되고는 국어를 얼마나 사랑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하셨어요.
564돌 한글의 날을 맞이해 한글사랑에 대한 우리의 마음을 확인해 보려 합니다.
좋은 답변 주신 회원 분 중 8분을 선정해 프릴 세제 미니어쳐 (100ml)를 보내드립니다.
발표일 : 10월15일
1. 우리 가정은 한글의 날을 별도로 기념하고 있습니까?
- 네, 그래도 자녀들이나 가족들과 함께 한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지는 등 뭔가 하려고 합니다.
- 32%(114명)
- 아니오, 솔직하게 한글의 날은 다른 날과 다름없이 평범하게 그냥 지나가는 날이에요. 지금은 법정공휴일도 아니니까 더 그렇구요.
- 68%(241명)
2. 한글의 날은 국경일이지만 법정공휴일은 아닙니다. 한글의 날이 법정공휴일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 네, 세계적으로 뻗어나갈 한글의 위상을 생각한다면 손해하고 생각하지 말고 공휴일로 지정되어 한글에 대한 이야기를 매스미디어에서 더 다루고 그리했으면 좋겠어요.
- 89%(315명)
- 아니오, 굳이 한글의 날까지 법정공휴일로 지정되면 국가적으로 손해라고 생각해요.
- 11%(40명)
3. 한글의 날이 되면 방송 프로그램에서 한글의 날을 특별하게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 네, 그래도 한글의 날 관련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방송 제작진이 노력한다고 생각해요.
- 25%(88명)
- 아니오, 한글의 날이라고 해서 특별하게 다른 프로그램을 본 적은 거의 없네요. 막장 드라마나 순화되지 않은 언어들이 사용되는 연예 프로그램은 그냥 방송을 오히려 하더라도요.
- 37%(133명)
- 일부 프로그램에서 다루고 있지만 더 노력이 필요해요.
- 38%(134명)
4. 개인 물건을 보관하는 것을 우리는 ‘사물함’이라고 부릅니다. ‘사물함’이 순화가 필요한 말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나요? (솔직하게 답변해 주세요)
- 네, 순화가 필요한 말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어요.
- 33%(117명)
- 아니오, 솔직하게 몰랐네요.
- 67%(238명)
5. '뗑강'이 고유어가 아닌 것을 알고 있었나요? (솔직하게 답변해 주세요)
- 네, 순화가 필요한 말이고 고유어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어요.
- 55%(196명)
- 아니오, 몰랐습니다.
- 45%(159명)
6. ‘동사무소’에서 바뀐 ‘동주민센터’ 이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 동주민센터 보다는 동사무소가 낫습니다.
- 40%(142명)
- 영어라고 해서 무조건 사용을 기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네요. 동주민센터에 별로 반대하지 않습니다.
- 48%(169명)
- 잘 모르겠어요.
- 12%(44명)
7. 정부 및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Hi Seoul' 'Tour Partner Gwangju' '뉴스타트' '에이블2010' '서울메트로'의 'EXIT'와 같은 언어 사용에 대해 찬성하시나요?
- 네, 우리말을 사용하면 좋기야 하지만 국제화 시대에 어느 정도 영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반대하지 않네요. 대한민국 위상을 생각해도 그렇구요.
- 52%(184명)
- 아니오, 정부 및 지자체에서 너무 외국어 사용을 권장하는 것 같아 씁쓸하네요.
- 45%(161명)
- 잘 모르겠어요.
- 3%(10명)
일부에서는 우리말 익히기및 우리말 퀴즈등 행사도 많이 있습니다. 한글날을 계기로 우리말의 좋은 점을 알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커서는 좀 어렵지요
먼저 부모부터 고운말 바른말을 쓰는 습관을 꾸준히 들이고우리의 아이들에게 교육하는 것이 옳겠지요
부모님들... 분발하자구요
좋은 우리말 우리의 아이들이 꼭 이쁘게 사용해야 잖아요
너무 말을 막 하는거 같아요...교육적으로도 애들 언어사용에대한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아직도 순화가 필요한 단어 정말 많은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네요^^
한나라의 정체성이란 입장에서 봤을 때도
한글순화 정말 필요합니다.
그래도 한글날만큼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한글의 소중함을 느끼는 하루가 되었음좋겠습니다^^
언어를 순환해야 겠다 ! 라는 생각을 자주 하진 못했는데요 설문조사를 참여하면서 제 자신을 반성하게 되네요
아이들의 교육과 우리 한글을 위해서라도
언어순화를 통한 바르고 고운 우리말 사용을 실천해
봐야겠어요 ~! 아이들과 함께 한글날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우리민족만의 고유 언어 한글 ! 앞으로는 조금 더
사랑하고 아껴줘야 겠어요 ^^
특히나 요즘은 외래어들이 너무많아서 어린아이들과는 공감대 형성도 안되고 세대차이를 많이 느끼는것 같아요..
바른우리말이 비뚤어진 모습으로 참 보기안좋을때도 많고 그렇네요...
요즘은 너무 일찍부터 영어에만 집중들을 하고 간판마다 죄다 영어들로만 되어있어서..더더욱 우리말이 사라지는 느낌이 들기고 하고 더욱더 활성화되고 이쁜우리말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우리말을 사랑합시다..
금세 배우니까요^^
일부에서는 우리말 익히기및 우리말 퀴즈등 행사도 많이 있습니다. 한글날을 계기로 우리말의 좋은 점을 알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글의 소중함을 깨달았으면 합니다. 한국인으로서 아쉽네요
방송에서 우리말 겨루기를 자주보는데 사실 우리말이 어렵고 아름다운뜻이많더라구요
볼그래 발그래 빙그레 시나브로등 뜻을되새겨보면 우리정서에 딱 맞는거 같아 자주씁니다
한글사랑은 나라사랑 아끼고 사랑합시다
바르게 사용하고 지켜야 겠지요.그리고 국경일로 정해 길이 후손들에게 소중함을 알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말을 좀더 많이 알수있도록 했으면 좋겠어요.
한글은 아름다운 우리말!
특히 예능 방송에서 하는 프로들이 더욱 신경을 써서 신중하게 방송을 해야 한다는 생각 입니다.
우리나라 아직도 순화가 필요한 단어 정말 많은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