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으로 인해 인수위원회도 없이 문재인 정부가 출범을 했습니다.
비정상적인 나라를 정상적으로 만들기 위한 시작의 첫 걸음이 '조직 인사'일 것입니다.
조직이 갖추어져야 박근혜 국정농단 사태로 거의 정지되다시피 했던
이 나라가 다시 소생하는데 모두 한 마음으로 박차를 가할 수 있겠지요.
그만큼 고위공직자 인선은 시급성과 중요성이 동시에 처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직후보자가 그 자리에 적합한 후보인지를 국민을 대신하여 검증하는 '국회의 인사청문회'
여러분은 어떻게 보고 계시나요?
후보자가 그 업무를 잘 할 능력이 있는가와 그 사람의 됨됨이를 검증해야 하는 인사청문회가
여당과 야당의 이익과 주도권 싸움의 장이 되어서는 안되지 않을까요?
국회의원들은 국민을 대신하여 후보들의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질문과 윤리성을 검증하기 위한
질문을 합리적으로 배분하여 청문회를 운용하여야 합니다.
그런에 현재 진행되는 청문회나 언론의 이슈를 보면 후보자의 능력 검증 보다는
후보자의 법위반, 윤리위반 여부, 또 심지어는 후보자의 가족의 법위반, 윤리위반에 더 많은
촛점이 맞추어져서 일부 후보자들의 경우에는 가족의 병력이나 투병 사실도 세상에 다 알려져야했습니다.
윤리적인 기준도 물론 중요합니다. 도덕성이 결여되고 사기꾼 같은 사람을 아무리 능력이 있다해도
위에 앉히면 안되지요. 이미 우리는 그러한 경험을 그동안 많이 하지 않았던가요.
그야말로 온 국민이 윤리적 도덕적 법적으로 농락한 것이 바로 박근혜 정부이지 않던가요?
중요한 것은 기준이 있는가입니다. 같은 국회의원이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의 인사청문회에서
각기 다른 잣대를 대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일반 기업에도 인사 평가 기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업무수행능력 00%, 근태 00% 등 기본적인 평가
비율을 정하고 그 안에서 점수를 매기고 그 점수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승진 대상자가 된다던가 하는
기준이 있듯 정부의 고위공직자 검증에도 명확한 기준이 설정되어야할 것이라 봅니다.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것도 중요하겠지요.
그런 측면에서, 엄마의 선택이 궁금합니다.
여러분이 국회의 인사청문회의 국회의원 석에 앉아있다면
후보자의 능력을 우선으로 보시겠습니까? 윤리성을 우선을 보시겠습니까?
후보자의 능력이 더 중요하다 vs. 후보자의 윤리성이 더 중요하다.
윤리가 더 중요하겠지요
거짓말과 나쁜행실을 보면서
누가 믿어주겠습니까?
옛 가르침 하나도 틀린게 없습니다.
먼저 사람부터 되라는 인성 중심 그게 먼저 입니다.
인성윤리도 가장 중요하고 능력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털어서 먼지 안나는사람 없다는~
씁썰한청문회 보기도 싫어집니다.
둘다~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금상첨화겠지만
죽자고 덤비는데 안걸려 들 사람있을까?
무단횡단, 신호위반, 쓰레기분리수거 등등 가벼이 여기는 법규위반 많습니다.
성직자 서품하는거도 아닌데
현실성 떨어지는 청문회를 하고 있을까?
수위 조절해 최저로 가는게 효율적이지 않을까?
도덕성 검증에만 열을 올릴까?
언론이나 청문회나
능력은 검증은 왜 안할까?
도덕성만 완벽하면 능력은 없어도 되나?
능력은 검증할 필요도 없이 완벽한걸까?
지나친 도덕성 검증은
후보들 흠집내기로 보이며
법에 보장된 대통령의 임명권을 저지하여
대통령을 무력화시키려 하고
국정공백 길어지게 만들어
나라의 안정에 걸림돌이라 생각되고
정치 이기주의로 보이려 합니다.
청문회를 기점으로 정치인들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도 윤리의식 키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