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나 학원에서 오면 자기방으로 문 닫고 들어가버리는 아들녀석,
제가 이 녀석 때문에 도를 닦고 있습니다.
뭘 하는지 도통 알 수도 없고 이제는 엄마가 보던 안보던 스마트폰만 종일 쥐고 살아요.
'뭐 하니?' 하고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싶어도 아이도 프라이버시가 있지 싶어서
꾹 참느라 정말 속이 터질 지경입니다.
하루 종일 카톡을 하는 것도 못마땅하지만
그보다도 더 걱정되는건 딸 아이 말로는 요즘 남자애들이 카톡으로 이상한 사이트나
앱 같은 걸 서로 교환하면서 보는 것 같다고요..
가슴이 쿵! 철렁!
초등학교 때는 위치추적이 되는 안심어플 같은것도 깔아서 유용하게 썼거든요.
이제 머리가 크고 보니 또 다른게 걱정이 되요.
IT강국인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도 없고
불쑥 불쑥 노출되는 청소년 유해환경을 엄마가 나서서 막아주어야 할지,
아니면 그냥 아이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지켜봐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자녀안심어플을 깔아놓으면 유해사이트나 어플 차단은 물론이고
아이가 어떤 앱을 얼마나 이용하는지 다 알 수 있다고 해요.
아들이 알면 난리 나겠죠? 한다면 아들 몰래 깔아두어야겠죠?
자녀안심어플로 아이 스스로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을 엄마가 제어해 주어야 할까요?
아니면 아이를 믿고 아이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해야할까요?
솔직하게
너를 믿지만 상황이 그렇치 않을 때도 있잖니 ?
아들이 저를 설득했고 저도 믿어주기로 했습니다. 대신 비밀번호를 설정안하고 저도 안들여다 보기로
힘들었어요 의외로 이런게 멘탈을 흔들어요
아직은 성인이 아니니까 강제로라도 지도가 필요하죠.
그레서 저는 자녀 안심 어플 까는거 반대예요..
그 어플 깔면 괜히 더 아이들을 믿지 못해서 역효과를 부를꺼 같아요.
한번 못 믿으면 계속 의심하게 될꺼 같아 믿고 기다려 보렵니다.
자녀를 못 믿으면 누굴 믿겠어요?
아이가 엄마보다 IT기기를 다르는 지식이나 수준이 높은 상태에서는 강제적인 안심어플보다는
대화와 교감을 통한 가정교육이나 일상생활이 효과적일것 같아요
공연히 어설픈 안심어플은 효과도 의문이지만 아이의 반발을 부르는 역효과가 걱정이네요
저희는 대화를 통해, '이것만큼은 꼭 지키자' 하고 정해놓은 규칙이 있습니다. 일단 규칙을 정해놓고 아이에게 책임의식을 심어주는 게 중요할 듯하네요.~ 무조건 못하게가 아니라... 필요한 영역을 아이가 스스로 정하게 하는 것 말예요.~ 사실 마냥 기다리는 것도 결코 좋은 방법은 아니고요... 기다리기만 하다보면 이미 아이는 중독 수준이 되어버릴 테니까요... 어른들도 통제하기 힘든 걸 아이에게 하라니... 너무 무리인 것 같아요.
http://momcast.azoomma.com/potlist
앞으로 더 많은 분들이 이와 같은 방송을 같이 만들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그런데 그날 방송 녹음시에 전문가 한분을 모시고 아이들 스마트폰 중독 등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그 때 저는 깜짝 놀랄 것을 깨달았습니다.
아이의 '스마트폰 과사용' 문제를 '그거 하지말라!라고 해결하거나 혹은 그 문제 자체를 얼르고 달래서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더 큰 관점에서 '가족의 사랑, 대화'의 관점에서 접근해야한다는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조급하게 아이를 바꾸려하지말고 아이와 함께 더 큰 관점에서 관계를 개선해가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 그러니까... 음... '아픈 곳을 바로 도려내는 처방'이 아니라 전체의 몸의 기운을 좋게하는 관리를 해주어야근본적 해결이 가능하다는 거죠.
그런 측면에서 아이몰래 '안심어플' 까즌건 절대 엄마가 해서는 안될일이라고 하네요.
당장 그걸로 아이를 멈추게 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그게 근본적 해결이 못되고 오히려 가족간의 불신만 더 커져서 더 큰일을 겪게 될지도 모르는 일이구요..
잠시나마 저도 '몰래라도 깔아야하나'.. 아니면 아이의 동의를 구해서 깔아야하나..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아이의 동의 또한 이걸로 다이렉트로 접근해서는 절대 해결방버이 될 수 없다고 해요.
이와 관련하여 지난주 녹음분이 화수 중에 올라올테니 '여자라테 http://momcast.azoomma.com/potlist' 페이지에 가셔서 화 수 중에 꼭 들어보셔요.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그랬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