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줌마닷컴 아이콘
우리 아이가 스라밸과 워라밸을 잘 누리게 하는 방법은?
2018-06-15 참여자 49

한 해가 벌써 반이 지나가고 있네요. 

달콤한 여름 방학을 한 달 정도 앞둔 아이들은 방학에 앞서 6월 말과 7월 초에 치르는 기말고사가 남아있습니다.

물론 고학년일수록 방학 때 못해놓은 학업을 해야 한다며 아침부터 저녁까지 학원을 다니는 아이들도 있으니 달콤하다고는 못하겠네요. 

 

아이 도서관 문화수업때문에 도서관에 앉아 있으니 중학생들이 기말고사 공부를 하려고 왔는지 많이 와서 공부하고 있더라고요.

초등학생은 시험을 없앤다고 하여 없어진 학교도 있고 아직 시험을 치르는 학교도 있다고 하는데 제가 학교 다닐때 생각해보면 초등학교는 시험에 대한 압박이 그렇게 많지 않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요즘은 초등학교 때부터 많은 학업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 스라밸(Study and Life Balance: 공부와 삶의 균형)

을 잃어버린 초등학생들도 많이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 가장 위대한 사람은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이라고 많이들 말하고 있지만

아직 현실은 뛰어난 학벌을 요구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세상에 나아가 자신의 삶의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서는 밑받침이 될 공부도 해야 하는데요.

스라밸을 잘 누렸던 아이가 워라밸도 누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우리 아이가 스라벨(공부와 삶의 균형)을 잘 누리기 위해 부모가 해줘야 하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등록
  • 닭발이죠아 2018-06-20
    너무 공부를 강요하지 말아야 할것 같아요.
  • 큰언니 2018-06-19
    지금 생각하면 예를 들어서. 수학시간에는 가장 기본적인 4칙연산과 십진법에서 조금 발전된 20진법정도만 확실히 배우고 굳이 미적분등의 전문적인 수학과목은 꼭 전공으로 공부할 대학교이상에서 배워도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지요.
  • 조이플 2018-06-19
    부모들이 먼저 욕심과 비교의식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초등학생때부터 너무 힘들게 공부하는 건 불쌍하지 않나요? 많은 걸 체험하고 좋아하고 잘하는 소질을 길러주고 인성교육 잘 시켜주기에 중점을 두면 좋겠어요. 그럴려면 부모의 멘탈이 강해야겠지요. 학부모들 만나면 마음을 혼란하게 하는 이야기들 다 걸러서 들을 수 있는 그런 멘탈갑이 되어야해요.
  • 항상 2018-06-19
    항상 아이가 원하는 위주로 살아가는게 좋을듯해요
  • 별님이 2018-06-19
    학원을 다 보내지 말고 뛰어놀게 해줘야죠
  • 형준맘 2018-06-19
    아이가 원하는걸 해줘야 해요
  • 상호 2018-06-19
    아이는 아이다운게 좋은것 같아요 부모 욕심이죠
  • 균형 2018-06-19
    적당한게 좋은것 같아요
  • 이겨울님 2018-06-19
    너무 무리하게 시키지는 말아야죠
  • 비비안나 2018-06-19
    소통이 잘 되어야겠죠. 눈높이에 맞춰...
  • 연화규현맘 2018-06-19
    자기 하고 싶을 걸 합니다
  • 왈가닥루시 2018-06-19
    부모의 뜻대로 움직이는 삶의 균형이 아닌 아이스스로 균형을 잘 맞출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일이 좋을듯 싶네요
  • 하뚱꽁쥬맘 2018-06-19
    부모가 욕심을 버려야한다고 생각되지만 부모이기에 쉽지않네요....ㅡ.ㅡ
  • 바람도리 2018-06-19
    공부와 놀이의 환경을 잘 만들어 주는 거죠
  • 행복상상 2018-06-19
    즐길수있는 취미를 작게 해주는것이 좋겟지요
  • 지인지호아빠 2018-06-19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일... 그리고 그것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 넣어주며 칭찬해주는 일
  • 안자니까졸리 2018-06-19
    잘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일
  • 수희맘 2018-06-19
    기대를 하지말아야겠죠....
  • 러브콩 2018-06-19
    부모의 욕심 버리기가 아주 중요한것 같네요. 아이가 가진 능력과 좋아하는것에 중심을 두고 거기에서부터 출발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민들레 2018-06-19
    공부에 너무 집착 하기 보다는 좋아하는것 재능이 있는것을 잘 보고 부모가 같이 공감하며 키워 주는게 중요한것 같아요
  • 귀요미아기사자 2018-06-19
    저는 둘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좋아하고 원하는 것을 찾아주도록 부모들이 도움을 줘야된다고 생각합니다.
  • 아즈메 2018-06-19
    자녀가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발견하고 방향을 정해주는것 이 중요하네요
  • 비법이 2018-06-19
    아이들을 그냥 놔두자는 염원이리라. 그렇다면 나무 늘보식으로 살면 된다. 빈둥 빈둥 뒹굴다 보면 아이들은 재미 있는 것을 찾게 마련이다. 너무 어린 나이에 치타처럼 살다가는 결국 넘어진다. 이 땅의 수많은 어머니들이여. 내일 아침 부터 우리애들 늦잠 좀 자게 제발 내버려 두라.
  • 강현맘 2018-06-19
    무엇을 하든 열심히 꾸준히 최선을 다하는아이가되도록가르쳐야죠!
  • 다둥이엄마 2018-06-19
    스스로 원하는 일이 뭔지 찾도록 돕는일
  • 이쁜직녀 2018-06-19
    옆에서 같이 해주기
  • 세가지보물 2018-06-19
    자존감을 살려주기
  • 덧니회장 2018-06-19
    웬지 미국스타일이 생각나며 동감합니다~!
  • 말괄량이삐삐 2018-06-19
    아이들 스스로가 커가면서 자기들이 할일도 알아가고 스스로 습득해서 자기가 원하는쪽으로 결정을 하는것 같더라구요.
    무엇을 해주기 보다는 옆에서 응원해주면 될것 같습니다.
  • 이뉴야샤 2018-06-19
    부모 역활이 중요한건 알겠는데,,,정작 어떻게 해야할지...무지 고민되네여,.전 그냥 아이의 말을 잘 들어주고 옆에 지켜보는것만이 할수 있는 일인것같아여,...
  • 김성민 2018-06-19
    ‘워라밸’. ‘Work and life balance’
    이 말은 즉, 일과 삶을 균형 있게 보내자는 뜻이하고 합니다.
    떼 돈을 벌기 보단 적당히 일하고, 쉴 때는 제대로 쉬자는 의미가 있는 듯 합니다.
    사실 저를 http://azabyo88.blog.me/221302014713
  • 사교계여우 2018-06-19
    ‘워라밸’. ‘Work and life balance’
    이 말은 즉, 일과 삶을 균형 있게 보내자는 뜻이하고 합니다.
    떼 돈을 벌기 보단 적당히 일하고, 쉴 때는 제대로 쉬자는 의미가 있는 듯 합니다.
    사실 저를 포함한 현 학부모님 세대에서는 이해는 하지만, 실천하기엔 어려운 마음이기는 합니다.

    저는 세 아이들을 둔 학부모입니다. 학부모님의 입장에서는
    '비록 지금 나의 삶은 그렇게 흘러가지만' 우리 아이들만큼은 '워라밸 라이프'를 사는 게 나쁘게만 보이지는 않습니다.
    물론 뭐 속이야 좀 터지긴 하겠지만, 일에 짓눌려 여유라곤 찾아볼 수 없이 사는 저처럼 힘들게 사는 것을 보고 싶지 않은 것이 부모의 마음이랄까요?

    하지만 평생 해야 할 직업도 아니고, 혹시나 지금 우리 아이들이 ‘스라밸(Study and life balance)'도 잘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걱정이 앞서긴 합니다.
    공부도 다 때가 있다고, 한창 공부할 시기이니 조금 지나고 스라밸인지 뭔지 그 균형을 한 번 맞춰보자고 할 수 있겠으나, 초등학생일때도 어렵다면 앞으로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는 더욱 더 불가능하죠.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행복하게 공부하는 학생. 과연 대한민국에 몇이나 될까요?

    우연히 홀로 앉아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큰 아이가 초등학교 고학년이 올라가기 전에 바로 잡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스라밸’을 하면서 마음에 위안을 갖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업의 끈을 놓지도 않으면서 삶에 풍요로운 여유를 갖도록 만들어 주는 것!
    그래서 제가 실천하는 교육 방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여행을 하는 겁니다.
    그냥 단순하게 먹고 노는 여행을 다녀오는게 아니라 아이와 함께 이야기가 있는 여행이어야 합니다.
    제가 대학 생활 때, 백날 책으로 공부하는 것보다 실습을 나가 직접 몸으로 느끼고 확인 하는 것이 더 오래동안 기억에 남을 뿐더러, 실생활 활용 능력이 생기더군요. 아이들이 여행에서 본 것을 지식처럼 습득할 수 있다면 즐거운 가운데서도 좋은 공부를 하는 계기가 될 겁니다.
    참고로, 방학 기간은 적재적소의 시기입니다.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여행을 떠나기 좋습니다.
    다만, 쉬면서도 배울 수 있는 여행임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부모 입장에서도 모처럼 여행이니 함께 쉬고 싶겠으나, 이 여행을 떠난 취지를 잊지 않고 아이들의 모습을 잘 보아야 합니다. 그래서 아이의 생각이 넓어질 수 있는 질문도 던져주고, 명소의 의미와 유래도 함께 찾아본다면 뜻 깊은 시간을 보내기에 충분합니다.

    혹시 알까요?
    아이와 함께 한 이 여행에서의 어떤 순간의 찰나가
    우리 아이들의 진로와 미래의 목표를 바꿀 수 있을지..!!
  • 양댕이 2018-06-19
    아이가 하고싶은 일을 할수있고 꿈을 찾을수있게 도와줘야죠
  • 풀그림 2018-06-19
    칭찬
  • 은지 2018-06-19
    정말 안스럽습니다. 공부도 때가있기에 시기를 놓치면 어려워 지므로 열심히
  • 진돌이 2018-06-19
    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으리 2018-06-19
    칭찬이 아이에게 자신감을 갖게 해주는거 같아요
  • 행복조아 2018-06-19
    자존감을 높여주는 칭찬을 많이헤주고 스스로 학습할수 있는 습관이 중요한거같아요
  • 개망초 2018-06-19
    자기주도적학습방법을 익히게 하는 것.요즘 코칭학습 프로그램이 많이 있는데 유익한거 같아요
  • 새봄이다 2018-06-19
    으음. . . . . 너무 어려워요. ㅠㅠ
    그런걸 안다면 엄마인 제가 이렇게 살고 있지는 않았을 텐데 말이죠.
  • 공주 2018-06-19
    긍정적 마인드를 길러주세요
  • 좋아좋아 2018-06-19
    적절한 잔소리와 보상의 균형 공부는 자기가 깨달아야 하는 것 같아요.
  • 장화신은야옹 2018-06-19
    스스로 공부할수 있게 옆에서 챙겨주고 지켜봐주고~대화의 시간을 많이가져야지요
  • 프리티엔젤 2018-06-19
    아이와 눈높이를 맞출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핸섬 2018-06-19
    잘~ 모르겠네요~~~~~~~~~~~~~~~~~~~~~
  • hkl;gj 2018-06-19
    놀때는 즐겁게 놀수 있도록 뛰어노는것도 하나의 공부방법이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할때랑 휴시식시간 엄격히 구별해 주면 좋을듯 합니다~!
  • 돼지 2018-06-19
    저희아이들은 다 커서 지금은 딱히 제시할수 있는건 없구요 어렸을적엔 대부분 아이 스스로 할수있게 했던것 같아요
    놀고 싶다고할땐 그냥 놔뒀던 기억이.... 별로 시간을 정해 주거나 하진 않았던것 같네요
  • 레몬향기 2018-06-19
    놀때는 즐겁게 놀수 있도록 뛰어노는것도 하나의 공부방법이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할때랑 휴시식시간 엄격히 구별해 주면 좋을듯 합니다~!
  • 아이셋엄마 2018-06-17
    저도 아이 키우는 입장이지만 뭘많이 보내지 않아도 애들이 놀시간이 없어요.. 그것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다들 바쁘다보니 혼자 노는시간이 있어도 친구가 없으니 심심해 하더라고요, 그러다보면 놀려고 축구, 줄넘기, 태권도,수영등 을 보내게 되는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