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 없는 외동 아이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서 국가적인 재난이 올 것이라는 예측 하에 여러 가지 정책들이 준비되어 있지만 사실 저출산 문제가 한 번에 그리 쉽게 해결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히 우리 아줌마들이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국가에서 마련한 저출산 대책안이 미비하다고 하지만 사실 저출산 대책안을 자세하게 아는 사람도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나라 전체의 고민은 우리 아줌마들의 고민이기도 하죠. 현재 저출산 정책을 먼저 알아보는 것으로 먼저 시작해 볼까 합니다. 저출산 문제에 더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첫번째 정부 정책, 아이 성장에 맞춘 체계적인 배려
신생아
1. 출산 축하금 지원
출산을 축하하기 위해 일부 지자체(광역9곳, 기초 166곳)가 출산 축하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금액은 지역별로 지원금액 및 요건이 다르기 때문에 거주지역 주민센터에 문의하시면 상담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신생아 장애 예방 검사
신생아 장애 예방을 위해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선천성대사이상 6종에 대한 검사를 보건소에서 실시합니다.
3. 신생아 난청 조기 진단
차상위 계층(159만원, 4인가구 기준)을 대상으로 전국 보건소에서 신생아 난청 조기 진단을 실시합니다.
4. 미숙아ㆍ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월평균소득 523만원(4인가구 기준) 이하 가정의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에 대하여 최고 1,000만원까지 의료비를 지원합니다.
영유아
1. 영유아 국가필수예방접종 지원 확대
만0~12세 아동 대상으로 BCG(피내용), B형 간염, 폴리오 등 필수예방접종 8종 백신에 대해 지정 의료기관에서 예방접종 시 평균 예방접종 비용의 약 30% 수준으로 지원합니다.
2. 영유아 건강검진 지원
건강보험가입자 및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영유아는 만6세가 될 때까지 건강검진 5회(4ㆍ9ㆍ18ㆍ30개월, 5세) 및 구강검진 2회를 지정된 인근 병원(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은 아기둘 엄마예요^^둘이라서 넘 좋아요~
이런것도 좋지만 난임 부부에게도 좀 도움을 주믄 좋겠네요 난임 부부들 의료보험 적용이라도 해주던가
난임 부부들은 점점 늘어가는 추세인데 의료보험 적용도 안되고 아이를 갖기 위해 병원비며
정신적 고통 육체적 고통을 감수하고 어렵게 어렵게 싸우는 중인데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난임 부부들 고통은 무시 하는것 같네요 ㅠㅠ
그리고 자식은 기르는 행복감도 주는거람니다
아이를 키우다 보니 동생이 왜 있어야 하는지 알았답니다.
혼자서 자라다보니.. 외로움을 너무나도 타더라구요. 그래서 아들녀석을 위해서라도... 동생이 꼭 있어야 겠더라구요. 하지만 역시나... 아이를 제대로 키울 수 있는 정책이 좀 더 많이 마련되었으면 하네요.
저도 동참합니다.
정부여~~ 우리 엄마들이... 아이를 더 많이 나아서 잘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를 믿고 맡길수 있는 정책을 좀더 마련하는게 시급하네요
과정이 힘들기도 하지만 경제적으로 여건이 되지 않아서 포기하기도 하지요.
지금도 나라에서 보조해주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경제적인 면때문에 아이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적으로 더 뒷받침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많은 효과가 있을것 같네요..